대승공(大丞公)의 배향(配享)
∎편집위원회
1. 대동사(大東祠)
<음陰 二月 十五日 제향祭享>
<광주시 광산구 동호동 신촌 후록(光州市 光山區 東湖洞 莘村 後麓)>
1945년(己酉) 호남의 유림(儒林)과 전국 종친들이 합모(合謀)하여 대승공의 유덕(遺德)을 기리어 향사(享祀)하는 사우(祠宇)를 건립하니 바로 대동사(大東祠)이다.
1964년 음8월 28일 대승공의 탄신일(誕辰日)을 기하여 처음으로 차류대종회(車柳大宗會)를 창립(創立)한 곳이기도 하다. 여기는 주향(主享)에 대승공을 모시고 종향(從享)에는 연안군 차효전(延安君 車孝全), 문화군 류효금(文化君 柳孝金), 문간공 류공권(文簡公 柳公權), 송월당 차보온(松月當 車蒲溫), 운암공 차원부(雲巖公 車原頫) 서산공 류자미(西山公 柳自湄), 서파공 류헌(西坡公 柳軒)등 여덟위[八位]를 모셔 왔는데 오래전부터 종향(從享)에 대한 시비(是非)기 있어 논란되어 오던 중 1996년도 총회에서 차류(車柳) 양문(兩門)의 합의(合意)와 유림(儒林)의 동의(同意)로 정위(正位)에는 아사 류선생(鵝沙 柳先生)을 좌우에는 대광 차공(大匡 車公)과 좌윤 류공(左尹 柳公)이라 위패(位牌)를 모시고 다른 분들의 위패는 고유제(告由祭)를 지내고 매안(埋安)하다.
2. 동계사(東鷄祠)
<춘제春祭 음 3월15일 (단본탄신일端宗誕辰日)>
<추제秋祭 음10월24일 (단종승하일端宗昇遐日)>
충남 공주 국립공원 계룡산록(鷄龍山麓)의 동학사경내(東鶴寺境內)에 있는 숙모삼전(肅慕三殿) 중의 하나로서 숙모전(肅慕殿) 및 삼은각(三隱閣)과 같이 우리 민족사에 찬연히 빛나는 충의절신(忠義節臣)을 모시고 전국유림(全國儒林)과 그 후손들이 춘추양절(春秋兩節)에 대제(大祭)를 올리고 있다. 동계사는 숙모전의 동쪽에 위치하는데 신라 제19대 눌지왕(新羅 第19代 訥祗王)때 왜국(倭國)에 인질로 잡혀간 왕의 아우 미사흔(未斯欣)을 구출하고 그곳에서 순절한 관설당 박제상(觀雪當 朴堤上)의 항일충혼(抗日忠魂)을 대승공께서 초혼제지(招魂祭之)하시고 고려 태조 19년(936年) 왕명에 의하여 사우(祠宇)를 창건(創建)하고 동계사(東鷄祠)라 하였다.
1960년 전국 유림의 중론(衆論)에 의하여 충신을 초혼제지한 대승공의 공(功) 또한 큰 것임으로 추배(追配)하다.
3. 참고사항
(가)숙모전(肅慕殿)과 동서무(東西廡)
숙모정전(肅慕正殿)에는 단종대왕과 비인 정순왕후송씨(定順王后宋氏)를 모시고 있고 서무(西廡)에는 사육신(死六臣)을 비롯하여 48명의 절신(節臣)을 모시고 있으며 동무(東廡)에는 안평대군(安平大君), 황보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 등 47명 충혼(忠魂)을 모셨다.
(나)삼은각(三隱閣)
(숙모전과 동계사 사이에 있음)
고려조의 충신이며 유학자(儒學者)이신 문충공 포은 정몽주(文忠公 圃隱 鄭夢周), 문정공 목은 이색(文靖公 牧隱 李穡), 문절공 야은 길재(文節公 冶隱 吉再) 등 세분을 년차적(年次的)으로 배향(配享)하고 뒷날에 정숙공 금헌 류방택(靖肅公 琴軒 柳方澤)과 문충공 도은 이숭인(文忠公 陶隱 李崇仁) 및 죽헌 라계종(竹軒 羅繼從)을 추배(追配)하다.
(다)초혼각지(招魂閣址)
대승공께서 처음으로 관설당 박제상의 혼을 초혼하여 제사 지낸 자리를 기념하기 위하여 비각(碑閣)을 세웠는데
지금은 비신(碑身)만 남아 있다.
(라)대승공탄신봉축식전(大丞公誕辰奉祝式典)
대승공의 탄신일인 음8월28일을 기하여 전국에서 유일하게 차류대종회 대구경북본부에서 봉축식을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