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류씨 14파 파조님 약사(文化柳氏14派 派祖任 略史) | |||||||||
---|---|---|---|---|---|---|---|---|---|
작성자 : 관리자-대 | 작성일 : 2021-02-26 10:56:55 조회수 : 758 |
파일 :
![]() |
문화류씨(文化柳氏) 14파(十四派) 파조님(派祖任) 약사(略史)
∎편집위원회
1. 시랑공파조(侍郞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1세(世)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하시랑(門下侍郞) 휘(諱) 당(塘)인데
문간공(文簡公) 휘(諱) 공권(公權)의 현손(玄孫)이시며 정헌대부좌우위상장군(正憲大夫左右衛
上將軍)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문산군(文山君) 시(諡) 충성공(忠成公) 휘(諱) 성비(成庇)의
장자(長子)이다. 충목왕(忠穆王) 3年(1347年) 9月에 국가(國家)의 은전(恩典)으로 송악(松岳)
동(東)쪽 십리(十里)거리에 예장(禮葬)하였다.
공(公)의 장자(長子) 휘(諱) 사우(司雨)는 한성부윤(漢城府尹)이고 차(次) 휘(諱) 송절(松節)은
즉장(卽將)이며 장손(長孫) 지소(之沼)는 시랑(侍郞) 차손(次孫) 지택(之澤)은 내시경(內侍卿)이고
휘(諱) 송절(松節)의 장자(長子) 휘(諱) 광수(光秀)는 충정조(忠定朝)에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이목은(李牧隱)과 길야은(吉冶隱)과도 래왕(來往)하다.
현달(顯達)한 분은 많으며 현대(現代) 저명인사(著名人士)는 경식(景植)과 병현(炳賢)등이다.
후손(后孫)들의 집성촌(集成村)은 안악군(安岳郡), 영덕군(盈德郡), 청주군(淸州郡), 보은군(報恩郡)
등에 세거(世居)한다.
2. 문숙공파조(文肅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4세(世)로 시(諡) 문숙공(文肅公) 휘(諱) 사눌(思訥)인데 시(諡) 충장공(忠莊公)
휘(諱) 임(臨)의 장자(長子)이고 하정공(夏亭公) 휘(諱) 관(寬)의 조카이나 16세(歲)에 진사(進士)에
급제(及第)하고 조선(朝鮮) 태조(太祖) 2年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니 조선(朝鮮)에 와서 처음으로
급제(及第)한 문화류씨(文化柳氏)이다.
태종(太宗) 7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及第)하여 여러 직종(職種)에서 누진(累進)하여 세종(世宗)
4年(1428年)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문형(文衡)으로 전장(典掌)이 되어 호당(湖堂)에 인선(人選)
되었고 특(特)히 아악(雅樂)을 정리(整理)하였다. 세종(世宗) 22年 경신(庚申:1440年) 6月 20日 향년
(享年) 66세로 졸(卒)하다. 어릴 때부터 숙부(叔父)인 하정공(夏亭公)이 거두어 친자식(親子息)
이상(以上)의 보살핌으로 성장(成長)한 공(公)은 숙부(叔父)가 돌아가심에 3年 복상(服喪)하고 삼대손
(三代孫)까지 봉사(奉祀)하라고 유언(遺言)하여 하정공(夏亭公)의 제사(祭祀)는 본가(本家)와 두 집에서
동시(同時)에 봉사(奉祀)하다. 자손훈계서(子孫訓戒書) 4항(項)을 전(傳)했다. 묘(墓)는 경기도 부평군
월출면 고잔리(古棧里)에 있다.
지금의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仁川廣域市 西區 景西洞) 봉수산(烽煫山) 신좌원(辛坐原)인데
지방문화재(地方文化財)로 지정(指定)되다. 집성촌(集成村)은 이천, 여주, 죽산, 홍구, 제천, 음성 등지이다.
3. 하정공파조(夏亭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시호(諡號)는 문간공(文簡公)이며 자(字)는 경부(敬夫)이고 호(號)는 하정(夏亭)
이다. 삼사판관(三司判官) 증영의정(贈領議政) 휘(諱) 안택(安澤)의 차자(次子)로서 고려(高麗) 충목왕
(忠穆王) 2年 병술(丙戌:1346年) 11月에 출생(出生)하다.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18年 기유(己酉:
1369年) 성균시(成均試)에 또 20年 신해(辛亥:1371年) 문과급제(文科及第)하여 판도좌랑(版圖佐郎)을
거쳐 여러 벼슬을 누진(累進)하여 조선(朝鮮)에 와서 태조(太祖) 3年 갑술(甲戌:1394年) 11月에 사헌중승
(司憲中丞)에서 누진(累進)하여 세종(世宗) 6年에 우의정(右議政)에 제수(除授)되다. 청백리(淸白吏)로 유명
(有名)한 분이며 정승(政丞)으로 있으면서 울도없는 동대문(東大門) 밖 비마저 새는 집에서 살며 비가 오는
날이면 우산을 받쳐 들고 지냈다고 하다. 국사편찬도감(國史編纂都監)을 맡고 있을 때는 걸어 다녔다고 한다.
배광주군부인(配廣州郡夫人) 광주안씨(廣州安氏)는 3남(男)을 생(生)하고 돌아가시고 후배풍주군부인
(后配豐州郡夫人) 이씨(李氏)와는 1남(男)을 두니 장(長) 맹문(孟聞)은 예조참판(禮曹參判)이며 2남(男)
중문(仲聞)은 호군(護軍)이고 3남(男) 계문(季聞)은 문과(文科)하여 형조판서(刑曹判書)로 시호(諡號)는
안숙공(安肅公)이고 4남(男) 이문(異聞)은 천호(千戶)이다. 세종(世宗) 15年 계축(癸丑:1433年) 5月 7日
향年(享年) 88세로 졸(卒)하시니 묘(墓)는 양근군(楊根郡) 남촌(南村) 왕충리(王忠里) 신좌(辛坐)에 안장(安葬)
하였다. 철종(哲宗) 13年 임술(壬戌:1862年) 묘(墓) 입구(入口)에 예조참판(禮曹叅判) 신석우(申錫愚) 찬(撰)의
신도비(神道碑)를 세우고 임술(壬戌:1982年)에 후손(后孫)의 세거지(世居地)인 운암군 신북면 모산리(雲岩郡
新北面 茅山里)에 또 신도비(神道碑)를 세웠다. 갑자年(甲子年:1984年)에 정부(政府)에서 동대문구(東大門區)
신설동(新設洞) 사거리에서 답십리동(踏十里洞)에 이르는 약(約) 십리구간(十里區間) 대로(大路)를 하정로
(夏亭路)라 명명(命名)하다.
공(公)의 유자(猶子)인 문숙공(文肅公) 사눌(思訥)을 양육(養育)하여 큰 인물(人物)로 성장(成長)시켰고
외현손(外玄孫)인 지봉이졸광(芝峰李倅光)이 공(公)의 옛집터에 청백(淸白)을 상징하는 비우당(庇雨堂)을 짓고
공(公)의 비우사상(庇雨思想)을 몸소 실천하였다. 본파(本派)에서 현달(顯達)한 분으로는 맹문(孟聞) 계문(季聞)
놕年 몽정(夢井) 몽정(夢鼎) 공량(公亮) 상운(尙運) 형원(馨遠) 봉휘(鳳輝)등 큰 인물(人物)이 나왔다.
집성촌(集成村)은 강화군, 남양군, 괴산군, 영양군, 보성군, 용인군, 안성군, 보은군, 강진군, 음성군, 나주군,
정읍군, 여천군, 남해군, 충원군, 청원군, 이천군, 거창군, 장수군, 화성군, 밀양군, 안악군, 서울 등지에 세거한다.
4. 장령공파조(掌令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휘(諱)는 희(羲)이며 초휘(初諱)는 의(義)이고 자(字)는 흠보(欽甫)이고 호(號)는
남정(南亭)이다. 군사(郡事) 휘(諱) 안우(安祐)의 자(子)로 하정공(夏亭公)의 종제(從弟)이다. 고려(高麗) 공민왕
(恭愍王) 19年 경술(庚戌:1370年) 출생(出生)하다.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문하생(門下生)이며 종형(從兄)
휘(諱) 관(寬)에게도 수학(修學)하다. 벼슬에 뜻이 없고 하연(河演) 변계량(卞季良)과 도의(道義)로 사귀고 합천군
(陜川郡) 쌍책(雙冊) 백성산리(百城山里)에 은거(隱居)하며 후학(後學)을 가르치고 역사(歷史)를 논(論)하시다.
조정(朝廷)에서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제수(除授)했으나 불취(不就)하다. 세종(世宗) 3年 신축(辛丑:1421年)
향년(享年) 52세로 졸(卒)하니 묘(墓)는 성산리(城山里) 뒷산에 안장(安葬)하다. 판서(判書) 권대긍(權大肯) 찬(撰)한
묘비(墓碑)가 있으며 공(公)의 복거시(卜居詩)는 유명(有名)하다. 후학(後學)들이 백산서원(栢山書院)을 건립(建立)
하여 향사(享祀)하다.
후손(后孫)들은 상책면, 초계면, 적죽면, 산청군, 풍각면, 안의면, 장수군, 지향군 등지에 거주(居住)하고 있다.
5. 곤산군파조(崑山君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휘(諱)는 익정(益貞)이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휘(諱) 평(坪)의 자(子), 5형제(兄弟)
중(中) 제4자(第四子)로써 고려시대(高麗時代)에 북방(北方) 개척(開拓)의 공(功)으로 조선(朝鮮) 태조(太祖)로부터
곤산부원군(崑山府院君) 증대광보국숭록대부(贈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을 제수(除授)하였다.
문무(文武)를 겸비(兼備)함에 조야(朝野)에서 추종(追從)을 받았다. 배위(配位)는 대장군(大將軍) 김휘(金暉)의
따님으로 생1남1녀(生一男一女)하니 아들 번(蕃)은 중대광문하찬성사(重大匡門下贊成事) 사재감정(司宰監正)으로
약목부원군(若木府院君)이며 사위는 안겸사(按兼使) 학주신유(鶴州申裕)이다. 공(公)의 묘(墓)는 칠곡군 석적면 망정동
후록(望亭洞 後麓) 자좌원(子坐原)이다.
세거지(世居地)는 달성군 해안면, 경산군 안심면, 밀양군 삼랑진면, 칠곡군 학정동 등이다.
6. 문평군파조(文平君派祖)
대승공(大丞公) 14세(世)로 고려조(高麗朝) 좌찬성(左贊成)인데 초봉(初封)은 선산부원군(善山府院君)이었으나 후(後)에
환봉(還封)되어 문평군(文平君)으로 봉(封)하였다. 밀직사겸한림학사감문위상장군(密直司兼翰林學士監門衛上將軍) 휘(諱)
순(淳)의 아들 7형제(兄弟) 중(中) 5남(男)이다. 공(公) 자(子) 휘(諱) 포(浦)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요 포(浦)의 독자(獨子)
휘(諱) 개(開)는 종문각태학사(宗門閣太學士)요 검교대호군(檢校大護軍)이다. 생3자(生三子)하니 장자(長子) 휘(諱) 소(沼)는
고려말(高麗末)의 전서(典書)이고 조선조(朝鮮朝)에는 목사(牧使)를 역임(歷任)하고 2자(子) 해(澥)는 서운관정(書雲觀正)
으로 선산류씨(善山柳氏)로 이관(移貫)하여 시조(始祖)가 되고 3자(子) 휘(諱) 유(游)는 무후(無后)하다.
기(其) 후손(后孫)들의 세거지(世居地)는 괴산군, 청원군, 청주시, 보은군, 산외면 산대리 등이다.
7. 지후사공파조(祗候使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1세(世)로 휘(諱) 인수(仁修)이며 초휘(初諱)는 인명(仁明)이다. 정신공(貞愼公) 휘(諱) 승(陞)의 장자(長子)
로서 충렬왕(忠烈王) 20年(1294年) 12月 문음(門蔭)으로 보문서직(寶文署直)으로 공직(公職)을 역임(歷任)한 후 누진(累進)
하여 중문지후사(中門祗候使)를 역임(歷任)하다. 배위(配位)는 고성이씨(固城李氏)로 생3남1녀(生三男一女)하다.
공(公)의 묘(墓)는 실전(失傳)하여 담양군 대덕면 비치리 원목동(潭陽郡 大德面 飛釵里 元睦洞)에 공(公)과 아들 손자(孫子)
3대(代)의 단(壇)을 설(設)하고 비문(碑文)은 중재 김황(重齋 金榥)이 찬(撰)하다.
집성촌(集成村)은 단양군, 임실군, 순창군, 군위군, 중화군, 부여군, 진천군, 시흥군 등지이다.
8. 좌상공파조(左相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휘(諱)는 만수(曼殊) 자(字)는 득휴(得休)이고 장경공(章敬公) 휘(諱) 돈(墩)의 손(孫)이요, 우부대언
(右副代言) 휘(諱) 총(總)의 아들이다.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때 음사(蔭仕)로 보마배행수(寶馬陪行首)가 되더니 12年
계묘(癸卯:1363年) 장군(將軍)이 된 후 두루 거쳐 14年 무진(戊辰:1388年) 이성계(李成桂) 장군(將軍)과 함께 위화도회군
(威化島回軍)의 공(功)이 있어 조선(朝鮮)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策錄)되고 태조(太祖) 7年 무인(戊寅:1398年) 좌의정
(左議政)에 이르렀는데 8月 26日 1차(次) 왕자(王子)의 난(亂)에 몰려 장자(長子) 원지(原之)와 함께 참사(慘死)되었다.
배위(配位) 남양홍씨(南陽洪氏) 사이에 3남(男) 3녀(女)를 두니 장(長) 원지(原之)는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이나
참사(慘死)되고 3남(男) 연(衍)은 공조참판(工曹參判)이다. 배위(配位) 홍씨(洪氏)가 친정(親庭)곳으로 가서 85세에 졸(卒)하니
묘(墓)는 양주군 남면 경신리(楊州郡 南面 庚申里) 자좌원(子坐原)에 안장(安葬)하다. 공(公)께서 돌아가신지 593年 뒤인
1991年 신미(辛未) 음9월(陰九月) 29日 공(公)의 혼(魂)을 초혼(招魂)하여 배위(配位)인 영숙댁주(寧淑宅主) 홍씨묘(洪氏墓)에
합부(合祔)하다. 공(公)의 후손(后孫) 중(中) 현달(顯達)한 분은 서산공(西山公) 자미(自湄), 평간공(平簡公) 질(姪),
문희공(文僖公) 순(洵), 문원군(文原君) 응룡(應龍), 참판(叅判) 지선(智善), 문정공(文貞公) 전(㙉), 유성군(儒城君) 희서(熙緖),
관찰사(觀察使) 경집(景緝), 통제사(統制使) 중기(重起), 용서공(龍西公) 기일(其一), 월파공(月坡公) 팽노(彭老) 등이며
세거지(世居地)는 포천군(抱川郡) 신북면(新北面)을 비롯하여 전국(全國) 지역(地域) 28곳에 고루 분포(分布)하고 있다.
9. 검한성공파조(檢漢城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휘(諱)는 원현(元顯)이며 초휘(初諱)는 원무(元茂)이며 장경공(章敬公) 휘(諱) 돈(墩)의 손(孫)이요,
문화군(文化君) 진(鎭)의 장남(贛南)인바 때에 고려말기(高麗末期)라 조용히 지내시다가 태종(太宗)때에 검한성사(檢漢城事)
에 제수(除授)되었다. 배위(配位)는 파평윤씨(坡平尹氏)로 6남2녀(六男二女)를 두셨으니 아들 중(中) 선(善)은 군사(郡事)요
영(穎)은 예조참판(禮曹參判)으로 시호(諡號)는 양도공(良度公)이신데 우리나라 최초(最初)의 보(譜)인 영락보(永樂譜)를
편찬(編纂)하였으나 애석하게도 그 서문(序文)만 전(傳)할 뿐이다. 묘(墓)는 양주군 창화동(楊州郡 昌華洞)에 있었으나
실전(失傳)하여 고종(高宗) 37年 경자(庚子:1900年)에 후손(后孫)들의 세거지(世居地)인 김제군 공덕면 황산리 분토동
(金堤郡 孔德面 黃山里 粉土洞)에 선고(先考) 문화군(文化君)과 상하(上下)로 설단(設壇)하였다. 비문(碑文)은 중재 김황
(重齋 金榥)이 찬(撰)하다.
집성촌(集成村)은 가평군, 온양군, 옥천군, 김제군, 장성군, 춘천군 등지에 세거한다.
10. 정숙공파조(貞肅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자(字)는 여명(汝明)이며 호(號)는 월정(月亭)이고 시호(諡號)는 정숙공(貞肅公)이며 휘(諱)는
정현(廷顯)이다. 문화군(文化君) 진(鎭)의 3남(男)으로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4年 을미(乙未:1355年)에 출생(出生)하여
문음(門蔭)으로 사헌부규정(司憲府糾正)에 등용(登用)되고 누진(累進)하여 밀직사우부대언(密直司右副代言)에 제수(除授)
되더니 이태조(李太祖) 3年 갑술(甲戌:1394年) 상주목사(尙州牧使)를 거쳐 대사헌(大司憲) 및 태종(太宗) 16年 병신(丙申
:1416年) 우의정(右議政)을 맡아 왜구침략을 막기 위하여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는 등 국사(國事)를 바르게 처결(處決)
하여 왕(王)의 신임(信任)을 받았다. 세종(世宗) 8年 병오(丙午:1426年) 5月 15日 향년(享年) 72세로 자택(自宅)에서 졸(卒)
하심에 묘(墓)는 과천관악산 남록(果川冠岳山 南麓)이다. 배위(配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청주정씨(淸州鄭氏)이고 생(生)
2남(男)이다.
후손(后孫)들의 집성촌(集成村)은 가평, 옥천, 무주 등지이다.
11. 판사공파조(判事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3세(世)로 휘(諱)는 정무(廷懋)인데 문화군(文化君) 진(鎭)의 4자(子)이다. 보(譜)에 의(依)하면 공(公)은
판사(判事)를 지내시고 생2남(生二男)하니 사밀(斯密)과 사영(斯榮)인데 후손(后孫)들은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보고
경북(慶北) 칠곡(漆谷)으로 들어가 은거(隱居) 불사(不仕)했다. 세거지(世居地)는 칠곡군 동명면 학정동이다.
12. 수사공파조(水使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4세(世)로 휘(諱)는 자(滋)이며 벼슬은 수사(水使)이다. 문화군(文化君) 증영의정(贈領議政) 휘(諱)
계조(繼祖)의 아들로서 충경공(忠景公)과는 사촌지간(四寸之間)이 된다. 후손(后孫)들은 평택 일원에 세거하고 있다.
13. 부윤공파조(府尹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4세(世)로 휘(諱)는 신(信)이며 문화군(文化君) 증(贈) 영의정(領議政) 휘(諱) 계조(繼祖)의 장남(長男)으로
신호위대장군(神護衛大將軍) 및 내시원사(內侍院事)를 거쳐 한성부윤(漢城府尹)에 제수(除授)되고 증직(贈職)으로
좌찬성(左贊成)이다. 묘(墓)는 구월산(九月山)의 대승공(大丞公) 묘하(墓下) 좌록(左麓)에 있다. 배정부인(配貞夫人)
순흥안씨(順興安氏)와 후배연안전씨(后配延安田氏)이다. 아들 휘(諱) 지(沚)는 통진현감(通津縣監)이고 손자(孫子)
전(瑔)은 만호(万戶)이다.
후손(后孫)들의 집성촌(集成村)은 고양군, 양평군, 당진군, 제주도 등이다.
14. 충경공파조(忠景公派祖)
대승공(大丞公) 14세(世)로 시(諡) 충경공(忠景公)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의정부우의정(議政府右議政)인바 별항(別項)과
같다.
후손(后孫)들 집성촌(集成村)은 다사면 방천리를 비롯하여 전국(全國) 37개 군에 세거(世居)하고 있다.
리스트 | |
|